
HTTP Parameter Pollution(HPP): 같은 이름의 파라미터로 요청을 보내서 오염을 발생시킨다. 기본 ip를 찾고, 포트를 확인해보니 80번 포트가 열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바로 회원가입 페이지가 있어서 회원가입하고 입장하니 아래와 같은 힌트를 볼 수 있었다. 근데 막상 HPP를 사용하는 부분이 보이지 않는데, 페이크 힌트인지 모르겠다. sqlmap을 사용해서 sql injection을 사용하니 admin 계정과 john계정을 발견하였다. ffuf을 이용해서 user 파라미터를 발견하였고, admin의 history에서 github를 발견하고 내용을 git clone 해보았다. system 명령어로 cmdcntr 파라미터에 값을 실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sh -i ..